2022년 8월 Z 폴드4가 3세대보다 한층 다듬어진 모습으로 출시된 데 이어 폴드 차기작의 방향성에 대한 이야기가 조금씩 나오고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최원준 삼성전자 부사장 인터뷰, 디일렉 기사 등을 토대로 Z 폴드5의 예상 출시일, 가격, 스펙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출시일
갤럭시 Z 폴드는 2세대부터 독립적인 언팩 행사를 통해 공개됐으며 폴드2는 노트20 시리즈가 발표되고 약 한 달 뒤인 2020년 9월에 공개됐습니다. 노트20 시리즈를 마지막으로 갤럭시 노트가 단종되면서 2021년부터는 갤럭시 Z 시리즈가 노트 자리를 대신해 8월 언팩 행사에서 공개돼 왔습니다.
Z 폴드 3, 4가 공통적으로 8월 둘째 주 수요일(2021.8.11, 2022.8.10)에 공개되고 8월 넷째 주 금요일(2021.8.27, 2022.8.26)에 출시된 점으로 미루어 Z 폴드 5는 2023년 8월 9일 언팩 행사를 통해 공개되고 2023년 8월 25일 공식 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가격
갤럭시 Z 폴드 1, 2는 239만 8000원에 출시됐고 폴드 3, 4의 가장 저렴한 모델은 1, 2세대보다 17% 낮아진 199만 8700원에 출시됐습니다. 하지만 폴드4를 같은 해 출시된 갤럭시 S22 울트라와 같은 용량끼리 비교하면 35~38% 비싼 만큼 여전히 가격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폴더블폰 시장을 선점하고자 하는 점과 폴더블폰을 사용해 본 사람의 90%는 다음에도 폴더블폰을 선택할 계획이라는 내부 조사 결과가 있는 점을 고려하면 일단 폴더블폰 사용자를 늘리기 위해 Z 폴드5 가격은 조금 더 내려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2022년 12월 1일 갤럭시 탭 S8 시리즈 가격을 10~18% 인상했을 때에도 Z 폴드4는 변동이 없었던 만큼 최소한 Z 폴드5 가격이 올라가진 않을 것 같습니다.
갤럭시 Z 폴드 1~4세대 한국 출시 가격
기종 | 저장 용량 | 출시 가격 |
갤럭시 Z 폴드4 | 1TB | 236만 1700원 |
512GB | 211만 9700원 | |
256GB | 199만 8700원 | |
갤럭시 Z 폴드3 | 512GB | 209만 7700원 |
256GB | 199만 8700원 | |
갤럭시 Z 폴드2 | 256GB | 239만 8000원 |
갤럭시 폴드 | 512GB | 239만 8000원 |
자료: 삼성전자
스펙
2022년 12월 로스 영 애널리스트가 화면 주름 개선을 위해 Z 폴드5는 새로운 힌지 디자인을 채용할 것이라고 전망한 데 이어 2023년 1월 폴드5가 기존의 U자형 힌지 대신 물방울 힌지를 탑재할 것이라는 예측이 등장했습니다. 물방울 힌지는 U자형 힌지보다 디스플레이를 완만하게 접는 만큼 폴드5는 전작보다 화면 주름이 적고 좌우 화면이 빈틈없이 접혀 두께도 얇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4세대 Z 시리즈 개발 당시 물방울 힌지를 검토했으나 방수 기능을 갖추지 못해 택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폴드5의 물방울 힌지는 IPX8 방수도 지원할 것으로 보입니다.
화면 주름 외에는 무게와 두께가 우선적으로 개선될 것 같습니다. 2022년 9월 IFA 2022 간담회에서 최원준 삼성전자 부사장은 Z 시리즈가 발전해야 할 부분으로 경험 측면에서는 앱 최적화를, 폼 팩터 측면에서는 무게와 두께를 꼽았습니다. 또 같은 해 10월 삼성전자 무선사업부는 협력사를 대상으로 한 경영 설명회에서 무게와 두께를 줄이고 내구성을 높일 방안을 강구해달라고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설명회에서 함께 거론된 과제로는 화면 주름 개선, S펜 내장, 카메라 성능 개선, 발열 문제 해결 등이 있습니다.
폴드4 무게는 263g으로 1~3세대(271~282g)보다 가벼워졌지만 바형 스마트폰인 갤럭시 S22 울트라와 아이폰 14 프로 맥스에 비하면 여전히 10~15% 무겁습니다(S22U 228g, 14 프로 맥스 240g). 하지만 2022년 12월 공개된 오포 파인드 N2 무게가 240g 미만에 도달한 만큼(색상에 따라 233~237g) 폴드 무게도 세대를 거듭할수록 바형 플래그십 스마트폰과 비슷해질 것 같습니다.
폴드5에 S펜을 내장하는 것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폴드4가 설계 당시 S펜 내장을 계획하고 막판에 제외한 점을 감안하면 실현 가능성은 아직 미지수라고 볼 수 있습니다. S펜 내장은 두께와 관련이 있는데, 스마트폰 두께가 얇을수록 S펜도 가늘어야 하며 가늘수록 필기감이 떨어진다고 합니다. S펜이 내장된 S22 울트라 두께가 8.9mm인 데 비해 폴드4는 (펼쳤을 때) 6.3mm로 이미 바형 스마트폰보다 얇습니다. 커버 디스플레이 S펜 지원도 본체를 두껍게 만드는 게 이슈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원준 부사장은 IFA 간담회에서 더 얇은 본체와 가늘면서도 사용성이 높은 S펜, 둘 다 만족하는 최적점을 찾겠다고 밝힌 바 있으며, 커버 디스플레이 S펜 지원이 기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두께를 양보하면서까지 지원하는 게 맞는지 고민이라고 언급했었습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스마트폰 긱벤치 순위 TOP 20 (0) | 2023.01.25 |
---|---|
갤럭시 노트20 vs S22 비교 및 차이점 정리 (2) | 2023.01.22 |
갤럭시 S22 플러스 vs S23 플러스 비교 (0) | 2023.01.08 |
아이폰 SE4 예상 디자인, 스펙 및 출시일 정리 (0) | 2023.01.07 |
애플 글래스 예상 출시일, 가격, 스펙 정리 (0) | 2023.01.03 |
댓글